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4일 무역 전쟁을 영화관으로 확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게시물에서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에 미국 밖에서 제작돼 수입되는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미국 영화 산업은 매우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 다른 나라는 우리 영화 제작자와 스튜디오를 미국에서 끌어내기 위해 온갖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고 올렸다.
그는 “따라서 상무부와 USTR가 외국에서 제작되어 미국으로 들어오는 모든 영화에 100% 관세를 부과하는 절차를 즉시 시작하도록 승인한다”며 “우리는 다시 한번 미국에서 제작되는 영화를 원한다”고 밝혔다.
CNN 방송은 관세가 어떻게 부과될지는 명확하지 않다며 영화는 상품이 아닌 지적 재산이므로 관세가 부과되지 않는 서비스 유형에 해당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다만 USTR은 일부 서비스가 규제 및 세제 혜택과 같은 특정 비관세 무역 장벽의 대상이 될 수 있으며 미국 영화 제작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많은 해외 도시들이 영화와 드라마를 촬영하는 영화 및 TV 스튜디오에 대규모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로 인해 많은 제작사들이 토론토와 더블린 같은 지역으로 사업을 이전했다.
캘리포니아 개빈 뉴섬 주지사는 할리우드로 제작을 다시 유치하기 위한 대규모 세금 공제를 제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할리우드를 비롯한 미국 내 여러 지역이 황폐화되고 있다”며 “이는 다른 국가들의 협력해서 한 일로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했다.
미국에서는 코로나19 이후 영화관보다는 집에서 영화를 보는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시청 습관이 바뀌어 박스오피스 수입이 크게 줄었다.
미국 박스오피스 수익은 2018년 120억 달러로 정점을 찍었지만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에는 20억 달러를 약간 넘는 수준으로 급락했다. 그후에도 개봉 편수가 2019년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고 총 수익이 90억 달러를 넘지 못했다.
CNN은 외국산 영화에 관세를 부과한다고 할리우드 스튜디오의 사업이 더 쉬워지는 것은 아니라고 전망했다. 많은 미국 영화와 드라마가 미국 외 지역에서 촬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방송은 관세는 서비스 부문에는 적용되지 않지만 영화 제작에 대한 관세가 만약 시행된다면 첫 번째 사례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