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지표가 나오면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향후 기준금리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미 노동부는 13일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7.1%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10월 상승률(7.7%)과 시장 전망치(7.3%)를 모두 하회한 수준이다. 올해 1월 7.5%였던 CPI 상승률은 6월 9.1%까지 치솟은 이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CPI 상승률도 6.0%로 10월(6.3%)보다 감소했다. 연준은 근원 CPI 상승률을 향후 인플레이션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활용하고 있다.
인플레이션이 완화되고 있다는 지표가 발표되면서 14일까지 열리는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이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앞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르면 12월 금리인상 속도 조절에 나설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은 현재 12월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 가능성을 79.4%로 반영하고 있다.
다만 두 달 연속 인플레이션 지표 완화에도 불구하고 향후 연준의 행보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인플레 잡혀간다…소비자물가지수 한달새 0.6%p ↓
https://www.knewsla.com/photo4/%ec%9d%b8%ed%94%8c%eb%a0%88-%ec%9e%a1%ed%98%80%ea%b0%84%eb%8b%a4-%ec%86%8c%eb%b9%84%ec%9e%90%eb%ac%bc%ea%b0%80%ec%a7%80%ec%88%98-%ed%95%9c%eb%8b%ac%ec%83%88-0-6p-%e2%86%93/
올해 연준은 0%대였던 기준금리를 4%대까지 끌어올리는 공격적인 통화 긴축 정책에 나섰지만 내부의 이견이 크게 노출되지 않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인플레이션이 완화되면서 향후 최종금리 수준과 유지 기간에 대한 연준 내부의 합의가 깨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연준의 비둘기파(통화완화 선호) 진영은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가 계속 둔화될 것으로 보고 높은 금리 수준으로 인해 경기가 둔화되고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보고 있다. 매파(통화긴축 선호) 진영은 연준의 목표치인 2%보다 높은 수준에서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될 것으로 보고 더 강경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본다.
아네타 마코우스카 제프리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11월 CPI 발표 이후 비둘기파 진영에서 가능한 한 빨리 인상 속도를 0.25%포인트로 늦추자고 더 강하게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1월 CPI 인플레 7.1%…예상보다 큰감소, 지난해 12월 후 최저치
다만, 임금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우려가 있는 만큼 두 달 간의 지표로는 연준이 안심할 수 없다는 견해도 나온다.
매튜 루체티 도이체방크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소득 증가가 소비 지출로 이어져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어 인플레이션에 대한 승리 선언은 이른 것으로 보인다”며 “10월, 11월 CPI 보고서로는 충분한 증거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도 연준이 인플레이션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중고차 가격 등 상품, 임대료·월세를 포함한 주거비용, 기업의 인건비가 반영되는 주택 이외의 기타 서비스 부문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임금 상승을 근본적인 인플레이션 압박 요인으로 지목했다. 파월 의장은 “노동 시장이 인플레이션을 이해하는 키를 쥐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기업들이 임금 인상을 통해 구직자들을 모으고 있기 때문에 임금 상승이 둔화되고 있다는 명확한 지표가 나오지 않는 것도 걸림돌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내년에도 연준이 올해처럼 공격적인 금리 인상을 단행하지는 않겠지만, 시장 예상보다 더 높은 수준의 금리를 한동안 유지할 수 있다고 WSJ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