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바이든 대통령의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계획이 발표되면서 인권 활동가들과 일부 민주당 의원들의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
백악관은 14일 바이든 대통령이 다음달 이스라엘, 요르단강 서안, 사우디아라비아를 순방한다고 발표했다.
영국 가디언은 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사우디 반 체제 언론인 자말 카슈끄지 살해 배후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가 지목되자 사우디를 국제사회에서 ‘왕따’시키겠다고 공언했었다며 이번 발표가 백악관을 수세로 몰아넣었다고 지적했다.
사우디의 한 인권 운동가는 바이든 대통령이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나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현재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저명한 사우디 인권 활동가 할라 알-도사리는 AP통신에 “바이든이 빈 살만 왕세자를 만나기로 한 것은 배신 행위”라고 말했다.
알-도사리는 “바이든 행정부는 장기적 목표인 아랍 국가들의 민주적 전환보다 단기적 이익에 집중하고 있다”며 “이스라엘에 대한 지원과 더 많은 석유를 확보하려는 시도가 단적인 예”라고 말했다.
민주당의 한 중진 상원의원도 유가 하락과 미국의 소비자 물가 안정을 위해 사우디의 협력이 필요한 점을 인정하면서도 사우디의 인권 상황은 개탄할만한 수준이라고 말했다.
딕 더빈 상원 민주당 원내총무는 CNN에 “사우디는 우리의 가치를 공유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줬”며 “나토(NATO)와 동맹들을 위한 에너지를 확보하고, 휘발유 가격 인하를 위해 원유 생산을 늘리는 것은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그(바이든 대통령)가 이를 사우디와 논의하는 것은 유감이다”라고 전했다.
존 튠 상원 공화당 원내총무는 “나는 그(바이든 대통령)가 (사우디 방문 기간) 왕세자와의 거래가 아닌 미국의 에너지에 집중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인권활동가들과 일부 민주당 의원은 바이든이 인권에 대한 언급 없이 사우디를 방문하는 것은 인권 침해에 대해 사우디 지도자들에게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 정보기관은 보고서를 통해 사우디의 실권자인 빈 살만 왕세자가 2018년 카슈끄지 살해를 지시했다고 결론을 내렸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후보 시절 카슈끄지 암살에 대해 “(사우디가) 대가를 치르드록 하고, 국제사회에서 왕따시키겠다”고 공언했다. 그는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후에도 살만 빈 알둘아지즈 사우디 국왕과만 통화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14일 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에 “중요한 것은 우리가 (사우디와) 관계를 재조정하는 동안 관계 자체를 단절하지 않는 것”이라며 “인권 문제는 바이든 대통령이 여러 지도자들과 협의했던 내용으로 앞으로도 그렇게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