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성에서 이전에 알려진 것보다 더 가까운 지표면 아래 불과 몇km 깊이의 암석에 액체 상태의 물이 갇혀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중국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미 항공우주국(NASA)의 퇴역 착륙선 인사이트(InSight)의 데이터를 사용해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기록된 화성 지진과 운석 충돌로 인한 지진파를 분석했다.
그 결과 화성 지각의 신비한 영역을 발견했는데 이는 물로 포화된 암석층으로 가장 잘 설명될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지난달 ‘내셔널 사이언스 리뷰’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화성 지하 5.4~8km 깊이에서 액체 상태의 물이 확인되면 지구에서 최대 780m 두께와 같은 물을 담을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3일 보도했다.
NASA의 인사이트 착륙선은 2018년 화성에 도착해 임무를 수행했다. 표면 탐사만이 아니라 지각 아래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도 들었다.
4년 동안 인사이트 착륙선은 민감한 지진계를 사용해 지각 응력과 운석 충돌로 인한 미묘한 지면 변동을 감지했다.
의사가 초음파를 사용해 인체 내부를 검사하는 것처럼 지진파가 화성 내부에서 어떻게 전달되는지 연구했다.
인사이트호는 2022년 임무를 마치기 전까지 1000건 이상의 지진을 기록해 연구자들이 지금까지도 분석하는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했다.
2024 UC 샌디에고 캠퍼스와 UC 버클리 연구팀은 화성의 중간 지각 약 11~20km 깊이에 액체 상태로 가득 찬 균열된 암석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중국과학원 지질학 및 지구물리학 연구소의 쑨웨이자가 이끄는 연구는 한 걸음 더 나아갔다.
대부분의 이전 화성 지진 연구는 저주파 데이터에 의존해 대규모 구조물만 감지할 수 있었다.
쑨 연구원팀은 고주파 신호를 사용해 화성 지각 상위 10km를 약 500m의 해상도로 훨씬 더 선명하게 볼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인사이트호가 기록한 세 건의 특정 지진의 신호를 분석한 결과 약 5.4km에서 8km 깊이에서 파동 속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로 채워진 다공성 암석층을 가리킨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그 깊이에서 물이 액체 상태를 유지할 만큼 따뜻하고 가압되어 있었다며 이 지역이 화성에서 액체 상태의 물을 위한 일종의 ‘최후의 피난처’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의 시추 기술로는 접근하기에는 물이 역시 여전히 너무 깊어 향후 탐사에 사용할 수 없으며 적어도 가까운 시일 내에는 불가능하다고 과학자들은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