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반등 가운데 뉴욕증시가 27일 혼조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4.17포인트(0.61%) 오른 3만2033.28로 장을 마쳤다.
반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3.30포인트(0.61%) 하락한 3807.3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78.32포인트(1.63%) 떨어진 1만792.68로 거래를 마쳤다.
시장은 이날 발표되는 미국의 3분기 GDP 성장률 등 지표들을 주목했다.
미국 3분기 GDP 성장률은 연율 2.6%로 집계돼 예상치(2.3%)를 웃돌았다. 아울러 2분기 동안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성장률이 이번에 플러스로 전환됐다.
코너스톤 웰스의 클리프 호지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오늘 수치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찾는 시장 관찰자에게 희망을 제공했고, 연준이 11월 회의에서 금리 인상을 완화하도록 이끌 수 있다”고 밝혔다.
호지 CIO는 “다만 오늘 GDP 발표는 위험자산의 골디락스(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상태) 수치“라면서 “최악의 인플레이션이 뒤에 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을 의미하는 신호”라고 주장했다.
기술 기업들의 실적은 예상치를 밑돌면서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
페이스북 모기업인 메타는 전날 장 마감 후 예상치를 밑도는 3분기 순이익을 발표했다. 4분기 전망치도 밝지 않아 투자 심리를 악화시키면서 이날 메타의 주가는 24.6% 폭락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른 기술주도 광고 수요 약화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유럽중앙은행도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인상해 2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을 밟았다.
이날 발표된 다른 지표들은 부진했다.
9월 내구재 수주 실적은 전월보다 0.4% 늘어난 2747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시장 예상치인 0.7%를 밑돌았다.
주간 실업보험 청구자 수는 계절 조정 기준으로 전주보다 3000명 증가한 21만7000명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