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 당국이 17일 광주 광산구에서 발생한 금호타이어 공장 화재와 관련해 ‘국가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당국은 화재 진압에 장시간 소요가 예상됨에 따라 밤샘 총력 대응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소방청에 따르면 소방청은 이날 오전 10시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에 대해 국가소방원령을 발령했다.
국가소방동원령은 재난이 발생한 시·도의 소방력만으로는 대응하기 어려운 경우, 국가 차원에서 재난에 총력 대응하기 위해 발령된다.
오후 5시30분 기준 대구, 전북, 충남, 전남, 경남 등에서 고성능화학차 총 15대를 비롯해 진압장비 149대와 소방대원 452명이 동원됐다.
4만5000리터(ℓ)급 및 3만ℓ급 대용량포방사시스템 2대, 무인파괴방수차 5대, 재난회복차량 2대도 투입됐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11분께 광주 광산구 소촌동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불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은 화재 확산을 우려해 7시28분께 관할 소방서 인력 전체를 동원하는 대응 1단계를 발령하고, 7시59께 2단계를 발령했다.
화재로 인해 현재까지 공장 직원 1명과 화재 진압을 하던 소방대원 2명 등 3명이 부상을 입었다.
공장 내부 3층에 있던 20대 직원이 대피 중 추락해 척추뼈 골절과 머리에 부상을 입어 구조된 뒤 병원으로 이송됐다.

화재 진압을 하던 소방관 1명은 건물이 3차 붕괴될 당시 폐유 저장탱크가 폭발하면서 얼굴에 2도 화상을 입어 병원으로 옮겨졌다. 다른 소방대원 1명도 머리 뒷쪽에 1도 화상을 입어 응급 처치를 받았다.
건물 내 쌓여있던 원자재 생고무 20t과 설비가 불타오르고 건물 붕괴와 폐유 탱크 폭발이 잇따르면서 진화는 난항을 겪고 있다. 당국은 잔여 위험물 폭발과 추가 붕괴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 지상 진화 대원과 장비를 안전 지대로 철수시켰다.
아울러 화재 진압에 장시간 소요가 예상됨에 따라 밤샘 총력 대응을 위해 전국 동원 소방력의 야간 숙소를 확보했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소방청, 경찰청, 광주시, 광산구 등 관련 기관은 가용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인명 구조와 화재 진압에 총력을 다해달라”고 했다.
또 “화재 진압 과정에서 소방대원 안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주고, 경찰에서는 화재 현장 주변 통제에 만전을 기할 것”을 지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