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슬라가 1분기 매출과 순이익 모두 예상치를 하회했다고 발표했다.
22일 CNBC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이날 발표한 1분기 실적 보고서에서 총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한 193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주당순이익(EPS)은 0.27달러다.
금융정보업체 LSEG의 예상치는 매출 211억1000만 달러, 주당순이익 0.39달러였다.
자동차 매출은 140억 달러로, 전년 동기 174억 달러에서 20% 감소했다.
순이익은 13억9000만 달러(주당 0.41달러)에서 4억900만 달러(주당 0.12달러)로 71% 급감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한 4억 달러로 발표했다. 영업이익률은 2.1%를 기록했다.
완전 전기차 판매로 받는 환경 규제 크레딧 수익은 전년 동기 4억3200만 달러에서 5억95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에너지 발전 및 저장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67% 증가, 27억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실적 하락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인기 모델인 ‘모델 Y’ SUV 페이스리프트를 위한 4개 공장 생산 라인 개편을 들었다.
평균 판매 가격 하락과 판매 인센티브 증가로 매출과 이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했다. 인공지능 프로젝트 관련 투자 증가도 원인으로 꼽았다.
올해 성장 전망은 제시하지 않으며 “2분기 실적 발표 시 2025년 전망을 재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같은 동적이고 변화하는 정치적 분위기가 제품 수요에 의미 있는 단기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부연했다.
테슬라는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정부효율부(DOGE) 수장 활동으로 미국 전역에서 큰 반감을 사면서 ‘오너 리스크’를 겪고 있다.
머스크가 유럽 극우 세력을 적극 지지하면서 유럽 시장에서도 고전하고 있다. 테슬라는 이달 초 발표에서 1분기 차량 인도량이 전년 동기 대비 13% 감소했다고 보고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계획으로 전기차 생산에 필요한 필수 부품과 재료의 비용 상승 우려도 커지고 있다. 중국 저비용 전기차 업체들과 경쟁에서도 고전하고 있다.
테슬라 주가는 올해 들어 41%가량 하락했다. 지난달 말까지 2022년 이후 가장 큰 분기별 하락을 기록했다.
관련기사 테슬라 방화·파손 전국서 80건 FBI, 국내 테러 전담팀 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