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베네수엘라의 소비자 물가는 전년 대비 4배 이상 뛰었다. 아르헨티나의 경우 2021년 대비 지난해 2배 가까이 올랐다.
특히 1980년대 이후 높은 인플레이션이 계속되고 있는 베네수엘라의 경우 최근 몇년 간 전례 없는 수준의 인플레이션을 겪고 있다. 2018년의 경우 베네수엘라의 물가상승률은 13만%라는 사상 초유의 슈퍼 인플레이션을 겪기도 했다. 지난해에도 베네수엘라의 인플레이션은 310%로, 전 세계 국가들 중 가장 높았다.
아르헨티나의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인해 임금도 더욱 빈번하게 오르는 것으로 전해진다. 또 아르헨티나 사람들은 수중에 돈을 들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빠르게 돈을 써 버리고 있다.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투자사 포트폴리오퍼스널인버전스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에밀리아노 안셀미는 “일부 업계에는 두 달마다 임금 협상을 요구하는 노조가 있다”면서 “내일은 모든 것이 더 비쌀 것이기 때문에 사람들은 돈을 받는 대로 소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국가들에선 사람들이 변동성이 큰 자국 통화를 신뢰하지 않아 달러화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베네수엘라에서는 이미 달러화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아르헨티나에서 집을 구매하려면 달러 단위로 모아 일시불로 지급해야 한다.
반면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중순 9% 정점을 찍은 이후 서서히 둔화되며 지난 5월 4%까지 떨어지며 안정화됐다.
이는 물론 밀레니얼 세대, Z세대의 미국인들이 경험한 인플레이션 중 가장 높은 것이다.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가 시작된 1982년 이후 미국의 연간 인플레이션은 평균 2.9%였고, 2008년 금융위기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에도 한 동안 4%를 넘는 데 그쳤다.
선진국 경제 전반의 인플레이션은 1990년대 이후 평균 2.4%를 기록해 왔다. 그러나 연방준비제도(연준·Fed)에 따르면 초저인플레이션 기간은 코로나19 대유행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의 요인으로 인해 2021년에 끝났다. 2021년 영국 등 유럽국가들과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5% 이상으로, 다음해인 2022년에는 7% 이상으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