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huna kahuna
2022년 5월 17일, 화요일
  • 기사제보·독자의견
KNEWSLA
  • 전체
    • 한인/K-타운
    • LA/OC 로컬
    • 미국 (Ⅰ)
    • 경제/Money (Ⅰ)
    • 캘리포니아
    • National
    • 부동산/생활경제
    • 세계 (Ⅰ)
    • 한국
    • 엔터테인먼트
    • 오피니언/칼럼
    • 세계/경제/사회
    • 스포츠
    • 이슈/특집
    • 화제/이런일도
    • 건강/의학
    • 여행
    • 라이프/음식
    • 문화/Book/공연
    • 전문가 칼럼
    • IT/SCI/학술
    • 미디어
    • 자동차
    • 기업/비하인드
  • 홈
  • 한인
  • LA/OC
  • 캘리포니아
  • 미국Ⅰ
  • 세계Ⅰ
  • 경제Ⅰ
  • 한국
  • 연예
  • 스포츠
  • 이슈
  • 화제
  • 문화
  • 건강
  • 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 전체
    • 한인/K-타운
    • LA/OC 로컬
    • 미국 (Ⅰ)
    • 경제/Money (Ⅰ)
    • 캘리포니아
    • National
    • 부동산/생활경제
    • 세계 (Ⅰ)
    • 한국
    • 엔터테인먼트
    • 오피니언/칼럼
    • 세계/경제/사회
    • 스포츠
    • 이슈/특집
    • 화제/이런일도
    • 건강/의학
    • 여행
    • 라이프/음식
    • 문화/Book/공연
    • 전문가 칼럼
    • IT/SCI/학술
    • 미디어
    • 자동차
    • 기업/비하인드
  • 홈
  • 한인
  • LA/OC
  • 캘리포니아
  • 미국Ⅰ
  • 세계Ⅰ
  • 경제Ⅰ
  • 한국
  • 연예
  • 스포츠
  • 이슈
  • 화제
  • 문화
  • 건강
  • 칼럼
No Result
View All Result
KNEWSLA
No Result
View All Result

텍사스 전력사태 풍력 발전 때문 아니야..문제는 민영화

부시 전 대통령 주지사 시절 도입한 전력시장 민영화가 문제

2021년 02월 25일
0

대규모 정전 사태로 수백만명의 주민들에 혹한에 떨고, 수십명의 사망자를 낸 이번 텍사스 정전 사태의 주범은 전력시장 규제를 완화해 민영화한 전력공급사의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번 텍사스 정전사태의 원인을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 탓으로 돌렸던 보수 정치인들의 일부 언론의 공격은 이번 사태의 보다 근본적인 원인을 짚지 못했다는 것이다. 

470여만 가구에 전기가 끊기고, 2만달러가 넘는 전기요금 고지서를 받은 주민들이 속출하는 등 전력 대란이 맞게 된 것은 소위 규제완화를 통해 전력시장 민영화때문이라는 것이다. 

규제완화로 전력시장이 자유화돼 소규모 민간 전력 공급사들이 생겨나면서 ‘대비할 수 있었던 재난’에 대비하지 않은 ‘시장 논리’가 문제였던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22일 텍사스주가 1999년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이 주지사로 재임할 당시 전력 공급을 민간업체 맡기는 민영화 정책을 도입해 가격 인하 경쟁이 무리한 비용 절감으로 이어졌고  규제 완화로 예외적 상황에 대비할 안전장치와 규제는 적어졌다고 지적했다. 

보수성향이 강한 월스트릿저널 조차 텍사스주의 전력 민영화의 문제를 지적했다. 

월스트릿 저널은 24일 텍사스주 주민들은 전력시장 규제 완화로 전기 가격이 낮아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비싼 전기요금을 내고 있었다며 16년간 280억달러의 전기요금을 더 냈다고 보도했다. 이는 연방 에너지정보청(EIA) 자료를 분석한 것이다. 

조지 부시 전 대통령의 주지사 재임기은 1999년 전력 공급을 민간 업체들에 이양하는 정책으로 텍사스 주민의 60%가 기존 공공 전력회사 대신 소매 전력회사로부터 전기를 구입하게 됐지만 주민들이 내는 전기요금을 더 올라갔다. 

당시 전력 민영화론자들의 주장은 전력 시장에 경쟁을 도입하면 전기요금은 낮아지고 서비스는 좋아질 것이란 탈규제 논리였다.

하지만 기존 공공 전력회사 요금과 비교해보면 민간 소매 전력회사로부터 전기를 산 텍사스 주민들은 2004∼2019년 전기요금을 280억달러나 더 냈다는 것이 월스트릿저널의 분석이다. 

이 기간 텍사스주 공공 전력회사의 전기요금은 전국 평균보다 8% 싼 것으로 나타났지만 소매 전력회사들의 가격은 13%나 더 비쌌다

사정이 이런데도 보수 정치인들과 일부 언론은 이번 사태가 풍력발전 등 재생에너지를 대거 도입했기 때문이라고 공격했다. 

천연가스는 가스관이 얼어버렸고, 풍력 발전소 일부에서 터빈이 얼어붙었다. 원전 2곳에 있는 원자로 4기 중 1기도 배관 동결로 48시간 이상 가동이 멈췄다.

이로인해  천연가스와 일부 석탄 화력 발전에서 총 2만9천메가와트가, 풍력 발전에서 1만6천메가와트가 끊겼다. 공급 중단된 전력량은 풍력발전 보다 천연가스 화력발전이 2배 가까이 더 많은 셈이서 이번 사태의 원인을 굳이 꼽자면 풍력이 아닌 천연개스 때문이다. 

뉴욕타임스는 이번 텍사스 정전사태의 근본적인 원인은 전력공급사들이 비용을 줄이기 위해 혹한기에 대비하지 않은 점이이며, 이는 전력 시장 자유화 또는 전력시장 민영화에 있다고 분석했다. 

<김치형 기자>

관련기사 전기요금 180배 폭등..1만 7천달러 고지서 받은 주민도

관련기사 텍사스 극한상황 &#8220;전기도 식량도 물도 없다&#8221;

실시간 랭킹

[OC총격] 숨진 의사 몸 던져 대참사 막아…”교인 50여명 살린 영웅”

OC 총격범, 68세 중국계 남성..대만계 교회 타켓, 대량살해 계획

버팔로 수퍼마켓 총기 난사, 최소 10명 사망..’백인우월주의’ 남성 체포

오렌지 카운티 교회서 총격..,1명 사망, 5명 부상, 버팔로 참사 하루 만에

[OC 교회 총기난사](2보) “총격범 아시아계 60대 남성”…1명 사망, 5명 총상

NASA 충격적인 화성 사진 공개..”화성에 인공 동굴? “

‘스멀스멀’ 다가오는 침체기..”현금 확보, 집은 팔 때”

“불황 다가온다. 위험 매우 높아…대비해야”

“냉장고 속에 숨어 살았다”…공포의 총기난사 현장(3보)

샌디에고 국경서 축구장 크기 대규모 지하터널 발견

Prev Next

최신 등록 기사

이제 자전거도 안전하지 않다

LA 카운티 마스크 다시 쓸까?

퓨어 사퇴, 배스 지지…LA시장 선거 초접전 양상

LA 그리피스 천문대 트레일서 화재

앰버 허드 “내가 조니뎁 침대에 대변? 어떤 여자가 그런 짓을…”

80대 한인 원로 조각가, 실종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 

한인 미용실 총격범 체포…”아시아계에 피해망상”

미 아동 코로나 확진자 1320만명..미 소아과학회 보고서

스텔스 오미크론보다 더 빠른 BA.2.12.1 중국서 첫 감염자

132명 사망 중국여객기 추락, “조종사의 자살 비행이었다?”

다우지수 1.34% 상승…인플레 억제 연준 의지 영향

FDA, 5∼11세 어린이 코로나 부스터샷 승인

4월 소매판매 0.9% 상승…높은 인플레에도 넉달 연속 상승

트위터 인수 포기하나 “가짜계정 5% 미만 증거 없으면 거래 불가”

“러시아 석유 없인 안돼” G7, 러 석유 금수조치 포기..관세 부과키로

  • 회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광고문의
  • 기사제보
  • 페이스북
  • 유튜브
© KNEWSLA All Rights Reserved.
No Result
View All Result
  • 홈
  • 한인/K-타운
  • LA/OC 로컬
  • 미국
  • 경제/Money
  • 캘리포니아
  • National
  • 부동산/생활경제
  • 세계
  • 한국
  • 엔터테인먼트
  • 오피니언/칼럼
  • 세계/경제/사회
  • 스포츠
  • 이슈/특집
  • 화제/이런일도
  • IT/SCI/학술
  • 건강/의학
  • 여행
  • 라이프/음식
  • 문화/Book/공연
  • 전문가 칼럼
  • IT/SCI/학술
  • 미디어
  • 자동차
  • 기업/비하인드

Copyright © KNEWSLA All rights reserved.

KNEWS LA 뉴스레터 신청하기

등록하신 이메일 주소로 매일 전자신문을 보내드립니다. 이메일 주소를 적어주십시오. 
Holler 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