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31일 오전 6시32분 서울 지역에 경계경보를 발령했으나 행정안전부가 10여 분 뒤 ‘오발령’이었다고 정정했다.
행안부는 이날 오전 6시41분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임을 알려드린다”고 했다. 앞서 시는 “국민 여러분께서는 대피할 준비를 하시고, 어린아이와 노약자가 우선 대피할 수 있도록 해 주시길 바란다”는 내용의 경계경보를 발령했다.
이외에는 별다른 상황 설명이 전무해 이른 아침 출근 준비하던 직장인 등 시민들은 당황했다는 반응이다. 동시에 ‘북한이 남쪽 방향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는 합동참모본부 발표가 언론 보도를 통해 전해졌기 때문이다.
50대 주부 김모씨는 “가슴이 철렁해 방에서 자고 있던 자녀들을 먼저 깨우고 옷을 입으라고 시켰다”며 “그리고 휴대폰으로 계속 상황을 찾아봤는데 아무런 얘기가 없었다. 북한이 쐈다는 미사일이 우리 집으로 갑자기 떨어지는 건 아닌가 무서웠다”고 했다.
게다가 순간적으로 트래픽이 몰리며 포털 사이트 접속마저 이뤄지지 않으면서 혼란을 더했다. 30대 직장인 정모씨는 “무슨 일인지 놀라 얼른 인터넷을 켰는데 접속이 안 되더라”며 “진짜 전쟁 난 줄 알았다”고 말했다.
이후 20여분 뒤인 7시께 행정안전부는 “서울특별시에서 발령한 경계경보는 오발령 사항”이라는 재난 문자를 재차 발송했다. 합참 역시 북한의 발사체는 서해상을 비행해 수도권 지역과 무관하다고 발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이 남측으로 북한이 주장하는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고 밝혔다. 합참의 발표 직후 서울시의 경보가 울렸으나 별다른 설명이 없이 대피를 준비하라고 해 출근길 시민들이 혼란을 겪었다.
앞서 북한은 이날 0시부터 다음 달 11일 0시 사이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고 국제해사기구(IMO) 지역별 항행구역 조정국인 일본과 IMO에 통보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