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력충돌이 발생한 수단 내 현지교민의 이송을 위해 투입된 군 수송기가 지부티 미군기지에 도착했다.
22일 국방부 이날 오후 5시20분경 교민의 안전 철수를 지원하기 위한 군 수송기(C-130J)가 지부티 미군기지에 안전하게 도착했다고 밝혔다. 군 수송기는 전날 오후 4시53분경 이륙했으며, 도착까지 약 24시간 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방부는 전날 “우리 정부는 수단 내 무력충돌과 관련해 수단에 체류하고 있는 재외국민의 안전한 철수를 위해 군 수송기(C-130J) 및 관련 병력을 투입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현재 수단 내 교전이 지속되고 있고 우리 국민들이 거주하는 수도 카르툼 공항이 폐쇄된 상황”이라며 “우리 수송기 및 병력은 인근 지부티의 미군기지에 대기하며 현지 상황들을 예의주시하면서 철수를 최우선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단에 투입되는 자원과 병력은 C-130J 수송기 1대와 조종사, 정비사, 경호요원, 의무요원 등 50여 명 규모다.
이번 수단에 투입되는 C-130 수송기는 미국의 록히드마틴에서 제작한 수송기로, 지난 1957년 실전 배치됐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현재까지 현역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미국 공군 최고의 전술 수송기로 꼽힌다.
C-130J는 최신 개량형으로 최고속도 약 670㎞/h로 운용되며, 항속거리는 3300㎞에 달한다. 최대 3만3000㎏를 탑재할 수 있으며, 약 130명을 수송할 수 있다. 앞서 2021년 아프가니스탄 조력자들을 국내로 이송하는 ‘미라클 작전’에도 C-130 수송기 2대와 KC-330이 투입된 바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5일 분쟁이 시작된 이후 지금까지 누적 사망자 수가 330명에 달했고, 부상자는 3200명에 이른다고 밝힌 바 있다.
다만 준군사조직 RSF가 다른 나라들의 자국민 대피를 위해 공항을 부분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고 밝힘에 따라 현지 교민들의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상황이 마련된 상태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수단 내 무력충돌과 관련해 오만 살랄라항에 있는 청해부대를 수단 인근 해역으로 급파하도록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수단사태 관련 우리 교민 안전 확보를 위해 국가안보실 2차장 주관으로 관계기관 상황평가회의를 실시했다고 이도운 대변인이 서면브리핑을 통해 전했다.